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주반딧불축제 일정, 예약, 프로그램 총정리

by 세모통통이 2023. 8. 25.

물 좋고 공기 좋은 무주에는 청정환경을 대표하는 반딧불 축제가 매년 열리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상을 받을 정도로 볼거리, 즐길거리가 많은 반딧불 축제의 일정부터 프로그램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몇몇 프로그램은 선착순이니 예약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무주반딧불축제 정보

기간: 23.09.02(토) ~ 09.10(일) 총 9일간

장소: 무주등나무운동장 일원 (주차는 아래 확인)

요금: 무료(일부 유료)

 

주차안내

※ 시내 주차장은 협소해서 제1, 2 주차장(임시주차장)에 주차하시고 셔틀버스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임시주차장을 비롯한 체험행사별 주소를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카톡으로 주소 받아보기 👈🏻

 

무주반딧불축제-주차안내
무주반딧불축제 주차안내 / 1,2 주차장에 주차 후 셔틀버스 이용하기

 

제전위원회 안내

주소: 전북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 15 전통공예문화촌 1층 무주반딧불축제제전위원회 (내비게이션에 예체문화관 검색)

전화: 063-324-2440 (상담시간 10시~17시)

 

일정표

무주반딧불축제 일정표
무주반딧불축제 일정표

 

 

 

행사장 안내도

반딧불축제는 진행 프로그램마다 장소가 달라지므로 안내도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무주반딧불축제 행사장 안내도
무주반딧불축제 행사장 안내도

 


무주반딧불축제 체험 프로그램

무주반딧불축제에는 아이, 가족, 연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 온라인 선착순으로 진행되니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바로 예약하시길 바랍니다.

 

반딧불이 신비탐사

반짝이는 반딧불을 직접 만나볼 수 있는 체험

기간: 9.2(토) ~ 9.10(일)

시간: 18:30 ~ 21:00

인원: 1일 최대 1,200명(금토일) / 600명(월~목)

체험비: 1인 당 15,000원 (36개월 미만 무료)

1인당 5매까지만 구매 가능하며, 36개월 미만 유아는 좌석을 차지할 수 없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1박 2일 생태탐험

 숙박과 조식 및 석식,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더해진 프로그램

  • 기간: 9.2(토) ~ 9.4(월) / 9.8(금) ~ 9.10(일) 6일간 4회
  • 1차: 9.2(토)~9.3(일) / 2차: 9.3(일)~9.4(월) / 3차 9.8(금)~9.9(토) / 4차 9.9(토)~9.10(일)
  • 인원: 80 가족(320명 내외) / 1회 20 가족(80명 내외)
  • 체험비: 4인 35만 원, 5인(최대) 38만 원

※ 특전: 투어패스 카드 지급 / 24시간 내 사용

- 반디랜드 곤충박물관, 반디랜드 천문과학관, 머루와인동굴, 태권도원, 목재문화체험장

 

자세한 일정은 예약 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반디별 소풍

반디별을 포함한 밤하늘 별자리를 볼 수 있는 체험

기간: 9.2(토) ~ 9.3(일) / 9.8(금) ~ 9.9(토) 4회 진행

시간: 21:00 ~ 23:00

인원: 1일 80명

체험비: 1인 당 5,000원 (36개월 미만 무료)

 

 

 

남대천 생명 플러스

남대천을 살리기 위한 취지로 하는 치어 방류행사

기간: 9.2(토) ~ 9.3(일) / 9.8(금) ~ 9.9(토) 4회 운영

시간: 16:00 ~ 16:30

인원: 어린이 (보호자 동반 필수)

체험비: 무료 1인 2매까지 구매 가능

 

 

 

NEW 물벼락 페스티벌

누구나 참여 가능한 물총싸움 페스티벌

기간: 9.2(토) / 9.3(일) / 9.9(토) / 9.10(일) 4회 진행

시간: 14:00 ~ 15:00

참여방법: 누구나 참여가능

(물총, 우비 지참 / 단 미치참자에 한해 선착순 물총 100개 무료 임대 및 1회용 우비 지급)

내용: 거리에 펼쳐지는 게릴라 콘서트 공연, 물총싸움, 코스프레 이벤트 SNS 응모

 

자세한 내용은 안내 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열기구 체험

무주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열기구 체험

기간: 9.2(토) ~ 9.3(일) / 9.8(금)~9.9(토) 4회 운영

시간: 18:00 ~ 22:00

체험비: 1인 당 18,000원 (키 130cm 이상)

탑승시간: 약 5분, 탑승인원 6명

 

 

 

무주반딧불축제 체험프로그램무주반딧불축제 체험프로그램무주반딧불축제 체험프로그램무주반딧불축제 체험프로그램무주반딧불축제 체험프로그램
무주반딧불축제 체험프로그램


공연 및 전시 관람 프로그램

이번 무주반딧불축제에는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눈으로 보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공연과 전시 및 관람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있다면 일정에 맞춰 방문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축제공연마당

<무주반딧불축제 키즈데이>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1. 어린이 뮤지컬 알라딘 공연

시간: 9.5(화) 10:30 ~ 11:30

장소: 전통생활문화체험관

참여: 메인무대 공연으로 자율관람

 

2. 벌룬아트 공연

시간: 9.5(화) 11:30 ~ 12:00, 15:00 ~ 16:00

장소: 전통생활문화체험관 앞마당

참여: 야외 공연 진행

 

3. 키즈체험존 운영

시간: 9.5(화) 13:00 ~ 18:00

장소: 전통생활문화체험관일원

내용: 샌드아트체험, 비눗방울 체험, 영수증 사진 찍기 체험(300명)

참여: 자율참여 / 인원제한 프로그램은 선착순 마감

 

4. 뮤지컬&영화음악 갈라쇼

시간: 9.5(화) 19:00 ~ 20:00

장소: 메인무대

내용: 키즈 콘셉트의 뮤지컬 음악, 애니메이션 OST 등 갈라쇼 진행

참여: 자율관람

 

 

<청소년 끼 페스티벌>

시간: 9.6(수) 17:00 ~ 19:00

장소: 축제장 주 무대

참가대상: 전국의 청소년 대상 👉🏻신청서 다운로드하기👈🏻

대상 1팀 금상 1팀 은상 1팀 동상 3팀 특별상 4팀
200만원 100만원 50만원 30만원 20만원

 

무주반딧불축제-프로그램무주반딧불축제-프로그램
무주반딧불축제-프로그램

 

<라이브 공연>

장소: 등나무 운동장 주무대

9.2(토) 19:00 개막식 (이찬원)

9.3(일) 19:00 무주의밤 중식이 밴드

9.4(월) 19:00 태권도 DAY (K-타이거즈, 나태주)

9.8(금) 19:00 트롯 DAY (임찬, 홍진영)

9.9(토) 19:00 반디 콘서트 (김범수, DK)

9.10(일) 19:00 폐막식 (윤도현 밴드, 고현주)

 

<반디 토크콘서트>

장소: 등나무 운동장 주무대 및 무주국민체육센터

9.6(수) 19:00 ~ 20:15

9.8(금) 17:00 ~ 18:30

 

 

전시 및 관람마당

<반디누리관>

반딧불이의 일생을 만날 수 있는 공간

기간: 9.2(토) ~ 9.10(일)

시간: 10:00 ~ 21:00

장소: 반디누리관 (예체문화관 1층)

참가비: 1인 5,000원

 

<입장퍼레이드>

반딧불이와 같이 진행하는 입장 퍼레이드

기간: 23.9.2(금) ~ 9.10(일)

시간: 18:30 ~ 19:30

장소: 무주군청-남대천교-CU사거리-등나무 운동장-무대-퇴장

 

<남대천 반디 빛의 향연>

낙화놀이, 드론쇼, 불꽃놀이까지 밤하늘을 수놓은 반짝이는 빛을 볼 수 있는 공연

기간: 9.2(토) ~ 9.3(일) / 9.8(금) ~ 9.9(토) 4회

시간: 21:00 ~ 22:00

장소: 남대천 사랑의 다리, 별빛 다리

 

 

기타

위의 프로그램 외에도 버스킹 공연, 전통문화 재현공연과 다양한 먹거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무주반딧불축제의 일정과 프로그램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97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축제는 올해로 27회를 맞이한 만큼 축제 퀄리티가 굉장히 높다는 게 느껴지는 구성들로 무주반딧불축제로 무주 여행을 떠나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추천글

 

예산 맥주 축제 / 맥주 공짜로 먹는 방법, 일정, 공연 라인업

'2023 예산 맥주 페스티벌'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뉴트로 먹방의 성지로 뜨고 있는 예산시장에 이은 백종원 대표의 지역 활성화 프로젝트 중 하나로 글을 통해 축제의 먹거리와 프로그램 정

life.tat-story.com